[삼성SDS사보] 좋은 아이디어를 내고 싶다면, 나쁜 아이디어도 많이 내라!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질 않아… 나는 창의적이지 못한가 봐.” 마케팅 구루로 유명한 세스 고딘은 이런 사람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그러면 나쁜 아이디어는 떠올라요?” 이 질문에 10명 중 8~9명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세스 고딘은 창조적인 사람이 되려면 ‘나쁜 아이디어’도 기꺼이 떠올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여러분은 어떠한가요? 아이디어가 없는 게 아니라 나쁜 아이디어가 떠오를까 봐 아이디어 내는 것을 주저하는 건 아닐까요? 회사 들어오기 전에 나는 분명히 아이디어도 많고, 아이디어 내기도 참 좋아했던 것 같은데, 아이디어를 낸다는 것이 원래 어려웠는데 젊은 패기에 그걸 몰랐었던 것인지, 아니면 내가 변한 것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대체 어디서부터 꼬인 걸까요? 나도 올해부터는 반짝 반짝 새로운 아이디어가 샘 솟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가 될 수 있을까요?

◆ 창의란 무엇인가?

대체, 창의란 무엇일까요? 보통 ‘창의성’이라고 하면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능력’만 생각합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창의적인 생각은 유용한 것이기도 해야 합니다. 새롭지만 유용하지 않은 것을 ‘엽기’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을 보면, 창의성이란 새롭고 유용한 것을 생각하는 능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처음부터 유용한 것을 생각하려고 하면 쉽지 않습니다. 아이디어가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 생각하다 보면 우리의 뇌는 겁을 먹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것을 멈춰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창의성을 발휘하려면 새로움과 유용함을 나눠서 생각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먼저 새로운 걸 내는 데에만 집중해서 발산해야 합니다. 좋고 나쁨은 그 다음입니다.

◆ 나쁜 아이디어 낼 까봐 두렵다고?  나쁜 아이디어도 아이디어다.

소위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에디슨은 특허만 1093개로, 특허 공장 공장장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입니다. 바흐 매주 한 편의 칸탄타 작곡했고, 모차르트 600편이 넘는 음악을 작곡했고, 피카소는 20000편이 넘는 작품을 만들었고, 셰익스피어는 154편이 넘는 소네트를 썼습니다. 천재들도 좋은 작품만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천재들은 나쁜 작품도 가장 많이 낸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나쁜 아이디어를 얼마나 냈나요? 아이디어의 실패를 얘기하기 전에, 지금까지 몇 개의 아이디어를 냈는지를 생각해봅시다. 그럼, 대체 어떻게 하면 나쁜 아이디어도 기꺼이 나의 아이디어로 인정하면서 낼 수 있을 까요?

 나의 Bright Spot 발견하기

크리베이트에서는 ’나의 Bright Spot 발견하기’를 제안드립니다. Bright Spot은 문제상황 속에 숨어있는 긍정적인 점을 뜻합니다. Bright Spot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데요. 이것은 단순히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는다는 게 아니라, 작지만 구체적인 ‘해결책’을 찾고, 그것을 어떻게 하면 더 확대할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입니다.

내 아이의 세 과목 시험 성적이 100점, 80점, 50점이라면? 여러분은 어떤 반응을 보이겠습니까?

일반적으로 부모들은 유독 50점을 받은 과목에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일단 50점을 받은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왜 50점밖에 받지 못했는지 추궁을 합니다. 그래도 말을 듣지 않으면 혼을 내거나 벌을 주려고 합니다. Bright Spot을 찾는 사람은 아이의 성적표에서 50점보다는 100점에 주목합니다. 그들은 “한 과목은 100점을 받았네. 그 과목에 소질이 있나 보다. 어떻게 하면 그런 소질을 키울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질 것입니다. 우화에서 나오는 ‘물이 반이나 남았네!’ 와 ‘반 밖에 남지 않았어!’, ‘밭을 반이나 갈았네!’와 ‘반 밖에 안 갈았네!’ 와 같은 작은 인식의 차이는 실패와 좌절로 고민하는 상황에서도 완전히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Bright Spot을 활용한 성공 사례 I – 아이슬란드 화산재

아이슬란드의 에이야프얄라요쿨 빙하에서 화산이 폭발했을 때, 유럽 하늘을 검게 뒤덮은 화산재는 온 나라를 좌절에 빠지게 했습니다. 하지만 이 상황 속에서도 긍정의 힘을 믿었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아이슬란드의 쇼핑몰 사업가 소퍼 구스타브슨(Sofus Gustavsson)입니다. 모두가 시커먼 화산재를 보며 좌절하고 있을 때, 그는 그 화산재를 작은 유리항아리에 담아 “Own a piece of modern history”라는 홍보 문구와 함께 판매하였고 신기하게도 화산재는 곧 각 나라의 수집가들에게 불티나게 팔려나갔습니다. 그는 판매 수익 전부를 나라의 복구 사업을 위해 기부했습니다.

Bright Spot을 활용한 성공 사례 2 – 떨어진 사과

일본 아오모리 현의 ‘떨어진 사과’도 유명한 사례입니다. 태풍으로 한 해 사과 농사를 망친 마을이 있었습니다. 모두가 좌절해 있을 때, 한 농부는 강한 비바람에도 끝까지 매달려 있는 사과를 보고, “떨어지지 않는 사과”라는 이름을 붙여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였습니다. 타겟은 바로 수험생과 그 부모들이었습니다. 사과는 시험을 앞둔 수험생과 부모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고 그 결과 농부는 정상 상품을 팔았을 때보다 오히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Bright Spot 활용한 성공 사례 3 – 수박에서 찾은 ‘노크(knock)’ 아이디어가 휴대폰으로

모 회사에서 크리베이트에 ‘감성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아이디어’를 의뢰하였습니다. , ‘스마트 폰은 감성과 너무 동떨어져 있어!’와 같이 문제만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성을 단순히 시각적인 방식으로만 접근하는 것을 넘어 촉감을 통해 느끼게 할 수 없을까? 촉감을 넘어 인터랙션이 있는 방식은 어떨까? 고민의 고민을 거듭한 덕에 수박 고를 때 수박이 익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똑똑 수박 겉을 두드려 보는 것에서 착안 해 노크(knock) 하는 방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제품화 되어, 똑똑 노크하는 것만으로 켜고 꺼지는 핸드폰으로 세상에 빛을 본 지 얼마 되지 않아, 두드리는 위치에 따라 화면 온오프와 잠금 해제까지 겸비한 기능으로 진화 발전 중입니다.

중요한 것은 생각의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 입니다. 문제가 아니라 Bright Spot을 찾는 데에 집중한다면, 아무리 쓸모없는 아이디어에서도 긍정적인 발전의 씨앗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나쁜 아이디어조차 많아 내야 하는 이유 – ‘아이디어 생존율 5%’의 법칙

창의성 학자 길포드(J.P.Guilford)는 창의성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민감성, 정교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여기서 ‘유창성’은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데 왜 유창성이 중요할까요?

왜냐하면 모든 아이디어에서 실제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수는 얼마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크리베이트에서는 ‘아이디어 생존율 5%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이 법칙은 자연이나 예술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연은 맹목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많은 가능성을 배출하고, 자연도태의 과정을 통해 생존 가능한 종을 결정합니다. 자연에서 새로운 종의 95%는 짧은 시간 안에 생존에 실패하고 사라진다고 합니다. 결국 5%만 살아남는 것입니다. 도자기를 만드는 도공도 100 개를 만들면 작품으로 5개 정도를 건진다고 합니다. 아이디어도 생물, 그리고 도자기와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디어를 100개 내면 그 중에 쓸모 있는 아이디어는 5개 미만입니다. 그래서 쓸모 있는 아이디어를 많이 얻으려면 많이 내야 하는 것입니다. 일단은, 좋은 아이디어 나쁜 아이디어 구분 없이 많이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좋은 아이디어를 골라내면 됩니다.

◆ 창의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당신에게

그런데도, 우리는 자꾸 좋은 아이디어만 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아이디어 자체가 안 나오는 것이지요. 그래서, ‘나쁜 아이디어도 많아야 한다’는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실제로 창의성에 관한 여러 연구에 의하면 나쁜 아이디어와 좋은 아이디어가 다양하게 섞여 있을수록 훌륭한 아이디어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여전히 ‘나는 창의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당신에게 권유 드립니다. 좋은 아이디어를 내야겠다는 강박은 벗어놓고, 이 문제의 Bright Spot은 무엇인지? 나의 Bright Spot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세요. 그런 다음 좋은 아이디어, 나쁜 아이디어 개의치 말고 딱 100개 아이디어만 내세요. 그럼, 5개는 건질 테니까요.

삼성SDS사보 2014.04

 

0개의 댓글

댓글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