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그릇의 대안을 제시하는 본플라

국민 한사람당 쓰는 1년에 쓰는 일회용 컵은 500개. 년으로 따지면 전체 290억 개가 넘는다.
일회용 종이컵은 종이처럼 보이지만 사실 액체에 종이가 젖기 안게 하려고 코팅을 하는데 이 코팅이 폴리에틸렌이라는 플라스틱의 종류이다. 그래서 종이컵은 사실 플라스틱 컵에 가깝다. 그 유해성은 여기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렇다면, 일회용 플라스틱의 대안은 무엇일까?
옛날에는 야자잎에 음식을 담아 먹었다. 본플라는 이점에 착안했다.
먼저, 남인도 청정지역에서 자라는 빈랑이라는 야자나무의 잎과 외피 부분을 주 원료로 만들어서 살아있는 나무를 자르는 일 없이 재료를 얻었다. 제조공정상 화학 물질 0.1g도 사용하지 않고 나뭇잎에 열을 이용해 압축 성형해 만들었기 때문에 가볍고 안전하다.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자레인지, 오븐, 냉장고 등 어디에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코팅을 하지 않아도 야자나무잎의 큐티쿨라층에 의해 자연적으로 코팅막이 형성되어 국물이 있는 음식도 거뜬히 담을 수 있다. 게다가 버리는 것까지 안심이다. 자연에서 왔기 때문에 3-6개월이 지나면 자연으로 돌아간다.
본플라 접시를 만드는 공장의 직원은 40여명으로 공정한 금액으로 마을 사람들의 생활을 책임진다.
등산 캠핑 갈 때, 파티할 때, 피크닉 갈 때 플라스틱 일회용 대신 본플라를 선택한다면 내 몸은 물론 지구 환경까지 챙길 수 있지 않을까?

저자 크리베이트
발행일 2020-05-10

멤버십으로 모든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즐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