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언어프로그래밍, 즉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는 언어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자아성찰 및 대인관계의 개선을 모색하는 훈련법이다. 실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간 행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기법을 체계화한 것이다. 과거 미국에서는 NLP 방식으로 신병 훈련을 하기도 했다.
NLP는 1970년 중반에 정보 전문가인 밴들러(R.Bandler)와 캘리포니아 대학의 언어학 교수인 그린더(J.Grinder)에 의해 개발되었다. 밴들러와 그린더는 삶의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기는 사람들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찾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특히 탁월성 발휘에 있어 Inner Game 즉 마음을 포함한 자신의 내부 세계를 어떻게 다루는지 나아가 자신의 뇌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발견하는 것에 주력했다. 일차적인 연구와 벤치마킹 대상은 게슈탈트 치료의 창시자인 프릿츠 펄스(F.pel’s), 가족치료로 유명한 버지니아 세티어(V. Satiar), 그리고 정신과 의사이자 최면요법의 대가인 밀튼 에릭슨(M. Erickson)이었다. 이 세 사람은 당대 최고의 성과로 세계적인 명성을 날리던 전문가들로서 수많은 사람들의 삶이 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탁월한 전문가들은 인간의 마음을 다룸에 있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였으나, 탁월한 성취의 이면에는 탁월함과 관련된 기본적인 생각이나 느낌, 신념, 또는 행동에 있어 공통된 패턴이 있고 놀랍게도 그들이 공히 그 패턴을 활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신념의 말, 시크릿 같은 류도 바로 이 NLP의 일환이다.
NLP에서 N은 시각, 청각, 후각같은 오감의 신경적 지각 과정인 N을 통해 인간의 행동이 나타나며, L은 생각, 행동을 연결하는 언어 즉,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정하고 타인과 소통하기 위해 언어 L을 사용한다고 보고, P는 개인의 신경적 지각과 언어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두뇌를 제어해 생각과 행동을 Programming, 재조직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때 NLP의 기본 전제는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대로 인지해 부정적이고 문제가 있는 사고를 긍정적으로 바꿔 주는 재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NLP에서는 언어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의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성찰하고 생각하는 방식과 내용을 바꾸는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이 있다고 본다. NLP는 언어의 작동원리를 심리요법에 적용한 것이다.
NLP가 보유한 다양한 기법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법들이 있다.
8 Frame Outcome(8단계목표설정)
Visual Swish(시각순간변화)
Anchoring(자극심기)
Excellent Circle(탁월성의 원)
6 Step Reframing(6단계의미전환)
Message from Resource(내적자원으로부터의 메시지)
Mentor(멘터와의 대화)
Integration(긍정과 부정의 통합)
Neurological Levels Alignment(의식차원통합)
Time Line(시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