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베이트 crevate 창의적 소통 communication
창의적 소통이 일어나려면?

상사와 부하직원, 어느 한 쪽만 창의적이라면 소통이 잘 될까?

조직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것은 마치 손뼉을 마주쳐 소리를 내는 박수와 같다. 왜냐하면, 조직에서는 구상하는 자와 실행하는 자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두 사람이 동상이몽이라면 아이디어는 제대로 구현되기 어렵다.

창의성의 핵심은 문화

한 명의 천재인가? 나보다 똑똑한 우리인가?

새로운 아이디어는 창의적인 천재 한 명의 노력으로 세상에 나오는 것이 아니다. 창의성이 꽃피려면 그를 둘러싼 문화와 환경이 중요하고, 소통은 이를 만드는 데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는 사람들끼리 대화를 나누어야만 더 많은 생각이 솟아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더 많은 대화, 더 많은 소통이 가능할까?

창의적 소통의 핵심은 안전함과 자유로움

소통의 ‘안전함’과 ‘자유로움’은 창의성이 꽃피는 중요한 기반이다.
그런데 우리 모두는 또한 각양각색의 의견, 각자의 아이디어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화자와 청자의 의견 차이가 있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다만 표현, 즉 소통의 방식이 중요하다. 의견의 차이가 매서운 눈빛, 사나운 말투 등으로 표출된다면… 그 공동체는 아이디어를 내기에 위험한 환경이라는 뜻이다. 소통의 장애물 탓에 의견의 차이가 아예 드러나지 못한다면… 그 공동체는 아이디어를 내기에 자유롭지 못한 환경이라는 뜻이다.

위험하거나 답답한 환경에서 아이디어는 즉사

우리나라 사회에서 창의적으로 소통 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은 어쩌면 이름 뒤에 직급을 붙이는 문화때문일 수도 있다. 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대신 박부장님, 이대리님 하고 이야기 하다 보면 무의식중에 ‘윗사람-아랫사람’이라는 구도가 생긴다. 이 구도에서 어떤 문제들이 생길 수 있을까? 이를 생각해 보기 위해서 질문을 좀 바꿔보자. 만약, 윗사람과 아랫사람 중, 어느 한 사람만 창의적이어야 한다면 누가 창의적인 것이 나을까?…정답은 ‘둘 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꽃피기는 어려운 상황이다’이다.

더 창의적인 아랫사람, 덜 창의적인 윗사람?

아랫사람이 제안한 아이디어는 ‘컷’당해서 구현될 자원을 갖추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처음에는 용기 있게 제안해도, 이윽고 안전하지 못함을 깨닫고 입을 다물어 버린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극이다.


더 창의적인 윗사람, 덜 창의적인 아랫사람?

겉보기에 두 사람의 대화는 잘 이루어질지도 모른다. 윗사람은 윗사람이니까, 아랫사람이 영혼 없게 끄덕이고 맞장구를 쳐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윗사람은 자신의 꿈에 취해 아랫사람이 제대로 따라오는지 체크하지 못할 때가 많아서 문제이다. 윗사람이 자유롭게 이리저리 발산하는 동안, 아랫사람은 이걸 어떻게 다하나? 한숨이 절로 나올 수 있다. 아랫사람 관점에서는 ‘윗사람의 아이디어=할 일’이 되므로 딱히 아이디어를 더해줄 이유가 없다. 그래서 차라리 침묵을 선택해 버린다. 역시 소통의 실패이다.


소통 문화를 바꾸어야

소통 문화를 바꾸어야 안전하게, 자유롭게 아이디어가 터져 나온다. 창의적 인간은 그를 지지해주는 창의적 공동체가 없이는 세상에 당당히 나설 수 없다. 팀 구성원들과 나누는 말 한 마디, 행동 하나하나에 “당신이 어떤 아이디어를 내든 저는 비난 대신 경청해 줄게요.”, “누구나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세요!”라는 메시지를 담아야 한다. 안전하게,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야말로 그들의 창의성을 꽃피우는 데에 더없이 중요한 것이기에.

저자 크리베이트
발행일 2022-12-21

멤버십으로 모든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즐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