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적으로 고민하고, 어떻게 잘 전달할지를 고민하라. 조직에서 재택근무를 지속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생산성 측면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체 생산성이란 무엇일까요? 생산성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생산성이란 뭔가를 투입해서 산출되는 것입니다. 보통 일터에서는 시간 당 하는 일로 정의됩니다. 같은 일을 하는데 시간을 줄었다거나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일을 했다면 생산성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산성에서 중요한 것은 시간과 일 ...
I Think-Because-For example-So로 보고하라 지시를 한 다음에는 보고를 해야 될 차례입니다. 그런데, 지시 할 때와 마찬가지로 업무를 보고할 때도 마법의 프레임이 있습니다. 바로 I Think-Because-For example-So가 그것입니다. 만약, ‘경쟁사 상황 알아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 했으면 좋겠는지 의견을 말해 보라’라는 지시 사항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열심히 리서치를 해서, 경쟁사에서 뭐하고 있는지만 주저리 주저리...
먼저, 많은 분들이 재택근무를 위한 혁신에 관심을 보여주시고 문의해 주셔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재택근무로 해야 하는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가 따로 있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당연히 구분됩니다. 재택근무는 단순히 공간이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일 하는 방식의 변화이기 때문에 일의 성격에 따라 재택근무에 더 적절한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가 있게 마련입니다. 굳이 구분을 하자면 명확한 업무들은 재택근무에 적절하지만, 명확하지 않고 모호함이 존재하는...
재택근무 좋은가? 나쁜가? 재택근무가 좋다. 나쁘다를 한 마디로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재택근무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을 떠올린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것입니다. 회사는 공간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직원들은 자신의 생활 방식에 맞게 자유롭게 시간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삶의 질도 높아지겠지요. 실제로 재택근무를 시작하고, 아침 운동하거나 애완견과 산책 후에 근무를 시작했다는 사람들도 주위에 꽤 있었습니다. 출퇴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침...
코로나의 여파로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가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재택근무가 부러웠던 직장인들 중에서 ‘오히려 출퇴근이 더 나겠다’ 부터, ‘재택근무가 너무 잘 맞는다’까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하지만, 교통 파업, 천재지변 등 예측할 수 없는 사태 때문에 재택근무가 필요한 상황은 계속 있을 수 있습니다. 차라리, 이번 재택근무 기간을 하나의 실험이라고 생각하고, 테스트 기간으로 삼아 제대로된 효과를 따져보는 건 어떨까요? 아니면 이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