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죽음의 공포를 전 지구적으로 느꼈다. 앞으로는 이런 전염병이 더 자주 출몰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울한 소식과 2차 코로나가 돌지도 모른다는 불안한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유례없는 전 지구적 공포를 경험하고 난 이후이기 때문에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이에, 각계 각층에서는 코로나 이후에 대한 전망치, 즉 ‘포스트 코로나’ 논의가 활발하다. 크리베이트에서도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고자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
‘시장에서 성공한 상품’이란 어떤 것일까요? 기록적으로 높은 매출을 기록한 상품, 오랜 기간 판매되고 있는 상품, 시장 점유율이 높은 상품 등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것입니다. 기업이라면 상품별 시장목표에 따라서 다를 것이고요. 그러면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한 상품’은 어떤 것일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팔리지 않았거나, 팔아도 남는 게 없었거나, 경쟁에서 밀려난 상품들을 떠올릴 것입니다. 하지만 그보다 흔한 것은 ‘개발은 했지만 출시하지 못한 상품’이나, ‘납품은 했지만...
메타적으로 고민하고, 어떻게 잘 전달할지를 고민하라. 조직에서 재택근무를 지속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생산성 측면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체 생산성이란 무엇일까요? 생산성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생산성이란 뭔가를 투입해서 산출되는 것입니다. 보통 일터에서는 시간 당 하는 일로 정의됩니다. 같은 일을 하는데 시간을 줄었다거나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일을 했다면 생산성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산성에서 중요한 것은 시간과 일 ...
I Think-Because-For example-So로 보고하라 지시를 한 다음에는 보고를 해야 될 차례입니다. 그런데, 지시 할 때와 마찬가지로 업무를 보고할 때도 마법의 프레임이 있습니다. 바로 I Think-Because-For example-So가 그것입니다. 만약, ‘경쟁사 상황 알아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 했으면 좋겠는지 의견을 말해 보라’라는 지시 사항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열심히 리서치를 해서, 경쟁사에서 뭐하고 있는지만 주저리 주저리...
먼저, 많은 분들이 재택근무를 위한 혁신에 관심을 보여주시고 문의해 주셔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재택근무로 해야 하는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가 따로 있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당연히 구분됩니다. 재택근무는 단순히 공간이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일 하는 방식의 변화이기 때문에 일의 성격에 따라 재택근무에 더 적절한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가 있게 마련입니다. 굳이 구분을 하자면 명확한 업무들은 재택근무에 적절하지만, 명확하지 않고 모호함이 존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