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에서 경험으로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제품 판매 공간이던 매장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매체로서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이자 실제 구매가 이뤄지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매장 내에서 고객이 무엇을 느끼고, 경험하게 할 것이며 구매 확신을 얻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 경험에 대한 사전 설계가 중요하다. 특히 전 세계에 매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라면, 환경디자인을 넘어 균일한 리테일 경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원칙과 전략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오픈랩 문화예술기관 관계자 및 교육자, 예술가, 메이커 등과 함께 미래의 문화예술을 위한 창조적 문화예술공간 아이데이션 워크샵 진행 Program – 머리를 말랑말랑하게 하는 Creative Shower – 창조적 문화예술 공간 아이디어 발산 – 아이디어...
2 DAY NEW BIZ CON-QUESTION 컨퀘스천은 질문을 의미하는 퀘스천(Question)과 컨설팅(Consulting)의 합성어로 질문을 통해 고객 스스로 답을 찾아 갈 수 있도록 돕는 교육과 컨설팅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Program 고객 접점에서 혁신 할 수 있는 7가지 포인트 학습 각각의 고객 접점에서 새로운 가치 발굴 및 아이데이션 우리 비즈니스의 Key Question 정의 및 해결 아이디어...
동작구 대방동에 위치한 서울영화초등학교, 영등포중학교, 영등포고등학교는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학교다. 이 학교들은 특이하게도 또래 간 학교폭력 보다는 상급 학교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 초등학생들은 중고등학생들을 무서워하고, 중학생은 고등학생들을 문제아로 인식하고 있었다. 정말 영등포중고등학교 학생들은 문제아들이고, 학교폭력의 주범일까? 통학로 공유로 인한 잦은 대면 세 학교는 등하교 시간은 다르지만 하나의 통학로를 사용하면서 대면의 기회가 많았다. 통학로뿐만 아니라,...
학교폭력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사회 문제이다. 하지만, 문제의 발생과 진화 과정을 보면 학생들이 자라온 환경과 학교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다르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서울시 학교폭력예방디자인 사업 역시 보편적인 학교폭력 예방 솔루션을 넘어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 솔루션 도출을 목표로 발전, 진화하고 있다. 크리베이트는 2015년 도봉구 Play@방학에 이어 2017년 서울시 학교폭력예방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를...